fbpx

Book Details

이기적인 방역 ; 살처분·백신 딜레마

16,000

김영수, 윤종웅 지음


고객들의 생생리뷰

“왜 동물에겐 백신을 쓰지 않는가?”
“살처분 일변도의 방역정책, 과연 이대로 좋은가?”
2019 한국방송대상 우수상, 2020년 미국 휴스턴영화제 플레티넘, 2020년 뉴욕영화제 우수상 휩쓴 MBC 다큐멘터리 ‘살처분, 신화의 종말’ 완결판! 뇌과학자 정재승 추천!

 

코로나19는 우리 사회를 급격히 바꿔 놓았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많은 사람이 하루빨리 백신이 개발되기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pandemic)이 발생하기 전에는 인플루엔자가 인간에게 가장 큰 위협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사망하는 사람이 수천 명에 이른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조류 인플루엔자가 변이를 일으켜 또다른 팬데믹이 될 확률은 매우 낮다.

김영수, 윤종웅 지음
152×188 | 225쪽 | 값 16,000원
2021년 1월 25일 발행 | ISBN 979-11-971489-8-9 (03510), 979-11-91433-01-2 (05300, 전자책)

카테고리: , , , 태그:

설명

저자 소개

김영수

MBC 충북 프로듀서. 2006년 입사해 주로 사회나 환경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와 시사, 교양 프로그램을 연출했다. 2011년 다큐멘터리 <밤>을 연출해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우수상, MBC계열사 작품경연대회 금상, 유럽의 에코탑(EKOTOP) 세계 환경영화제 슬로바키아 시장 상을 수상하고,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알자지라(Aljazeera) 필름 페스티벌 공식 상영작 선정의 영광을 누렸다.

2013년 MBC 충북 재직 중에 카이스트 과학저널리즘 대학원에 진학해 석사논문으로 <가축전염병으로 바라본 방역 정책의 사회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를 집필했다.

2018년 다큐멘터리 <살처분, 신화의 종말>을 연출해 가축 전염병으로 생기는 살처분 문제와 동물의 백신 사용에 대한 논의 등을 촬영하고 방송했다. 동물에 대한 죽음과 방역에 대한 새로운 시선으로 2019년 한국 방송대상 우수상, 방송문화진흥회 지역방송대상 금상, MBC 계열사 작품 콘테스트 금상을 수상했다.

2020년에는 해외에서도 작품을 인정받아 2020 휴스턴 국제영화제(WorldFest Houston) 다큐멘터리 부분 플래티넘, 뉴욕국제영화제(International NewYork Film Festival) 다큐멘터리 부분 우수상, 유로필름페스티벌(Euro Film Festival Geneva) 공식 상영작, 암스테르담 국제영화제(Amsterdam World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공식 상영작으로 선정됐다. 현재 경기대 언론미디어 학과에서 코로나 방역과 관련된 박사 논문을 준비 중이다.

윤종웅

농장 위생/방제 전문기업 ‘팜쉴드’ 대표이자 현직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 서울대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ROTC 수의장교로 전역한 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조류질병학 석사를 마쳤다. 이후 쉐링푸라우, MSD 동물약품, 바이엘 코리아 등 해외제약사에서 마케팅과 영업을 담당했고, 가금 분야의 현장 수의사로 20여 년간 활동했다. 2012년 이후 반석 LTC에서 가금농장 현장컨설팅과 농식품부 연구사업 책임연구자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가금 현장에서 닭진드기와 살충제에 관한 연구를 시작해 결국 농장전문 위생/방제라는 영역을 만들고 창업해, 현재 ‘팜쉴드’의 대표를 맡고 있다. 안전한 축산물 생산과 전염성질병에 대한 현장대응을 주제로 계속 연구 중이다.

2016년 이후 대한수의사회 산하 직능단체인 한국가금수의사회 회장직을 연임하고 있다. 2016년 경기도와 전국을 휩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해 백신 정책 도입을 주장해 현재 국가에 인플루엔자 백신 항원 뱅크를 구축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후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백신과 관련한 농식품부 정책연구와 역학조사 부분의 연구사업을 수행하며 현장의 소리를 대변하고 있다. 2018년 가축방역에 대한 공로로 농식품부장관상과 경기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추천사

|정재승 (뇌과학자, ‘과학콘서트’ ‘열두발자국’ 저자)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에서 ‘글로벌이슈: 식량 생명 질병’이라는 수업을 오랫동안 진행하면서 가축 사육의 비가시성에 대해 강하게 문제 제기했다. ‘우리가 매일 먹는 고기가 어떻게 키워지고 끔찍하게 죽어서 내 식탁까지 올라오게 되는지 보게 된다면, 우리가 이토록 고기를 많이 먹으려 애쓰지 않을 텐데’ 라는 생각에서다.
비위생적인 사육공간, 살처분의 폭력성, 동물 백신에 대한 오해 등 과도한 육식문화를 지탱하기 위한 인간 사회의 폭력적인 행태들은 반드시 환기해야할 전지구적 이슈들이다.
우리 대학원 졸업생 김영수 PD가 이 수업에서 영감을 얻어 다큐멘터리를 만들었고, 이 작품이 훌륭한 상들을 모조리 휩쓸더니, 이렇게 근사한 책으로까지 묶여져 나왔다. 여간 자랑스러운 학생이 아니다.

목차

들어가며

1. 구제역의 진실과 교훈_김영수
와치트리, 세계 최대 매립지를 가다
16세기 우역, 살처분 정책의 시작
구제역, 백신 논쟁의 발화점이 되다
‘구제역=살처분’ 등식의 성립, 영국의 혈통 종 사랑
섬나라 영국과 유럽 대륙 국가의 차이
구제역 살처분 프리 선언, 백신

책 속으로

현재 한국에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이 개발되어 냉장고에 보관돼 있습니다. 심지어 2020년에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백신이라 100% 방어가 입증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백신의 사용을 주저하고 있는 것일까요? 코로나에 걸린 사람은 살처분하진 않지만 동물들은 경제성을 이유로 살처분을 당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생명 경시에 대한 경고와 자각을 일깨우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우린 지금까지 막연한 걱정에 사로잡혀 살처분이라는 카드만을 고집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살처분이 언제 어떻게 시작돼 방역의 표준이 됐는지를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서문’ 중에서 p14

극단적으로 비유하자면 코로나가 치명률이 낮음에도 전염력이 강하다는 이유로 발병 지역의 사람을 모두 죽여 전염을 차단한다고 하면 과연 누가 이해할 수 있을까? 질병이 아무리 치명적이라도 인간에게는 이런 잣대를 들이댄 적이 없다. 하지만 가축에게는 이런 기준이 버젓이 적용된다. 심지어 구제역의 백신은 오래전에 개발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라에서 백신보다는 살처분이 우선인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 -‘와치트리, 세계 최대 살처분 매립지’ p30

고객들의 생생리뷰

f
1942 Amsterdam Ave NY (212) 862-3680 chapterone@qodeinteractive.com
[contact-form-7 404 "찾을 수 없습니다"]
Free shipping
for orders over 50%